참여기한

닫기

자료실

사업관련 일반 자료실입니다.

2024년 7차 가족친화정책 및 국내동향 보고

등록일
2024-09-30
조회수
367

2024년 7차 가족친화정책 및 국내동향 보고



안녕하십니까.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친화지원센터입니다.


2024년 7차 가족친화정책 및 국내동향을 다음과 같이 공유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0월 1일 부터 약 한달 간 '가족친화 문화 확산 캠페인'이 진행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PDF를 다운받아 출처 및 URL을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으십니다.


또한, 가족친화 인증기업(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동향보고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게 할 예정이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동향보고에 우리 기업의 특별한 가족친화 제도 및 문화를 소개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https://moaform.com/q/CG1c1P (클릭!)


2024년 7차 가족친화 정책 및 국내동향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친화지원센터 Chapter 00 Contents 우수 가족친화인증기업 국세청 정기 세무조사 유예 2024년 9월 가족친화 KEYWORD,가족친화 사회 동향,가족친화 정책 동향,가족친화 연구 동향,가족친화인증기업 소개,가족친화인증기업을 찾아 떠나는 여정 Chapter 01 2024년 9월 가족친화 KEYWORD 1. 우수 가족친화인증기업 (중소기업) 세무조사 유예 ● 윤석열 대통령, 「일·가정 양립 우수기업 성과공유회」 주재 ● 세제 혜택 검토, 국세 세무조 사 유예 등 방안 강구 2. 가족친화 인센티브 확대 ● 코바코, 혁신형 중소기업 방송 광고 할인 최대 70% ● 추석선물 구매 인센티브 제공 3. 가족친화문화 확산 캠페인 ● 가족친화인증기업을 찾아 떠나는 여정 Chapter 02 우수 가족친화 인증기업(중소) 세무조사 유예 尹 대통령, 「일·가정 양립 우수기업 성과공유회(제4차 인구비상대책회의)」 주재 (대한민국 대통령실 고용노동부, 9. 25.) - 일시 및 장소: 2024. 09. 25. 중소기업중앙회 -주요내용: 일·가정 양립 우수기업 5개사 성과 공유, 인구 위기 극복을 위한 민관 협력 방안 논의 가족친화 최고기업인 한화제약(주)은 직원들의 업무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유연근무제도 사례 공유하였음. 정부는 기업 사례들과 현장 건의를 수렴하여 일·가정양립을 위한 세부대책 마련함 1. 단축 근무, 반차 등으로 일 4시간만 근무할 경우 근로자가 원하면 휴게시간 없이 바로 퇴근이 가능하도록 제도개선 2. 우수 가족친화, 일·생활균형 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에 국세청 정기 세무조사 유예하고, 지방세 세무조사 유예 추가 확대 3. 임신·육아기 근로자부터 재택근무,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도화 추진 4. 국·공립 및 공공기관 직장어린이집의 지역주민 등에 개방 확대 등 Chapter 03 가족친화 사회동향 연번/Summary/날짜/언론사/기사제목/url 1.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의원이 주4일제 네트워크와 함께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일 부터 9일까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노동시간 및 주4일제 인식조사'를 실시함 [결과] 법정 노동시간을 주 35시간 또는 36시간 전후로 개편하는 법률과 정책에 동의 (68.1%) 법정 연차휴가 확대 동의(74.3%), 1주일 연장근로 한도 하향 동의(66.6%) 주4일제 도입 찬성(63.2%)/9.1./뉴시스/직장인 10명 중 7명 '노동시간 단축 찬성' 63% 주4일제 찬성/https://www.newsis. com/view/NISX20240901_0002870771 2. '닥터지'와 '랩잇'으로 잘 알려진 고운세상코스메틱은 난임 치료비 지원, 임신 전 기간 단축 근무, 육아휴직 최대 2년, 가족 돌봄 풀타임 재택근무, 중증 질환 장기유급휴 가. 주 2회 재택근무,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 직원들이 가정과 직장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고운세상코스메틱 이주호 대표는 가족친화경영을 하는 이유는 직원들이 어떤 경우에도 사회적·경제적으로 자신의 존엄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9.4./한국경제/[한경에세이] 회사는 당신의 인생을 책임지지 않는다/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0477331 3. 여성가족부는 지난 1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100여 개 기업의 인사·조직 관리 담당자 대상으로 기업 내 다양성 및 일·생활 균형 제고를 위한 제2차 역량강화 교육 실시하였다. [교육주제] HR 핵심역량, DEI로 디자인하다: 조직문화를 변화시키는 DEI/9. 10./여성가족부/기업의 일·생활 균형과 양성평등을 위한 배움의 장-기업 인사담당자 대상 제2차 다양성 교육 실시-/https://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5&bbtSn=710150 4. 글로벌 ESG 공급망 평가기관 '에코바디스' 첫 도전에 상위 5% 골드 등급 획득 노동 및 인권, 윤리 부문에서 높은 평가 점수 받았으며, 매년 인권경영보고서 발간과 기업 활동이 인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식별·방지·완화하고 주의의무를 기울이는 '인권실사 프로세스'를 이행하고 있다. 지난 2022년 임신기·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가족 상담 서비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친화적인 문화를 정착시켜온 공로를 인정받아 여성가족부로부터 가족친화기업 인증(3년간 유효)을 받기도 했다./9. 19./SK이노베이션 뉴스룸/SK엔무브, 에코바디스 ESG 평가 '골드 등급 획득/https://skinnonews.com/archives/116668 Chapter 03 5. 주4일제를 도입한 자동문 제조업체는 2022년에 주 4일제' 도입하였다. 도입 후 직원의 업무 만족도 증가, 입사경쟁률 100:1로 증가 근무시간은 20% 감소했지만, 매출은 매년 25%이상 증가하고 있음/9.22./TV조선/'워라밸 구인난 모두 잡았다'...제조업 첫 '주 4일제' 공장 가보 /https://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9/22/2024092290131.html 6. 한국노동연구원-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9월 23일 서울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인구구조 대전환, 일하는 방식의 미래에 대응한 근로시간 제도 개선' 토론회 개최함 주제 ▲ 인구구조 변화 시대의 근로시간 ▲근로시간 현황과 시사점 ▲국제비교로 본 우리나라 근로시간 실태와 향후 정책과제 등 근로시간을 법정시간 단축보다는 사업체 별 자율결정 유연화를 우선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함 이정민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노동력의 양적·질적 확장을 위해 근로시간제도 개편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 서, 그 방식으론 '사업체별 자율적 결정'을 제시 엄상민 경희대학교 교수, 업종별 근로시간과 특정 시기 집중도 등이 크게 달라 획일적 근로시간 규제가 어렵다며, '사업체별 유연한 운영'이 필요하다고 지적 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부원장, 법정 근로시간의 추가적인 단축보다는 개별적 상황에 맞는 '유연한 근로시간제도 입과 운영'이 우선적 목표여야 한다고 주장/9.23./뉴시스/'근로시간 개편은 필수... 단순 시간 단축보다 유연 근로형태 늘려야'/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923_0002895860 + 기업이 나서야 하는 이유와 역할을 중심으로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한 해법과 관련 기획기사/8.~/쿠키뉴스/저출생, 기업의 시간※8월 19일부터 관련 12개 기사/https://www.kukinews.com/article/list/kuk_S000330 Chapter 04 가족친화 정책 동향 1. 여가부-코바코, 가족친화인증기업이 '혁신형 중소기업 방송광고 할인 지원 사업' @ 1 신청 대상에 포함되어 선정시 TV, 라디오 등 광고비의 최대 70%까지 할인 (여성가족부, 8. 29) 2.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지역사회 상생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지자체(경북, 제주도) 쇼핑몰과 협력하여 가족친화인증기업에 '추석 선물 구매' 인센티브 제공 (~9.30.) 3.제주특별자치도, 민간 워케이션 4차 바우처 사업 지원(9.20.~10.11.) -도외 기업, 근로자 등 대상으로 1인당 최대 30만원 바우처 제공 (제주특별자치도, 9, 10.) 4. 유엔여성기구, '유엔여성기구 서울 담화: 여성과 함께하는 포용적 일터의 미래' 포럼 개최(9. 24.) (뉴시스,9.25) - 일·가정 양립 제도는 여성 인재가 장기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직장 문화 조성과 남성의 직장생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기업 경쟁력 제고와 저출생 문제 해결에 중요함, 이날 포럼에서는 가족친화인증기업이 대다수 참석 Chapter 04 가족친화 정책 동향 5. 고용노동부, 소상공인연합회와 MOU체결하고, 출산·육아 지원제도 현장 홍보 강화 -육아휴직 사용 시 대체인력 지원금(월 120만 원), 업무분담 동료 근로자 지원(월 20만 원) 등 (고용노동부, 9.2.) 6. 고용노동부, '키워라 워라밸! 일·생활 균형 콘텐츠 공모전' 진행(9. 12. ~ 10.21.) -주제: '회사와 직원이 함께 성정하는 일.생활 균형', 분야 : 영상과 이미지 (고용노동부, 9. 12.) 7. 고용노동부-중소벤처기업부, (가칭) 청년일자리 강소기업' 500여 개소 선정 - 심사 기준: 청년 고용, 임금 수준, 일·생활 균형 등 - 지원내용: 고용부 • 중기부 지원사업 선정 선발 우대, 정기 세무조사 선정 제외 우대 등 (고용노동부, 9. 12.) 8. 국무조정실, 인구전략기획부 설립 추진단 공식 출범(9. 24.) (국무조정실, 9. 24) Chapter 05 가족친화 연구 동향 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여성가족부, 2024.09.05)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중 남성 비율이 '15년 대비 5배 증가 •'23년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약 12만 6천명으로 '15년 대비 남성 약 3만명, 여성 약 8천명 증가 • '23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수급자는 2만 3천명으로, '15년 대비 11.3배 증가 - 남성(45.2%)과 여성(32.3%) 모두 300인 이상 규모 사업장에서 사용 비율이 높음 • 2023년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는 남성(17.1%)과 여성(13.9%)은 '15년 대비 각 12.4%p, 9.3%p 증가 -여성은 시차출퇴근제(36.1%), 남성은 탄력근무제(34.2%) 활용률이 가장 높음 Chapter 06 가족친화인증기업 소개 kakaogames - 격주 '놀금' 제도를 운영, 주 35.5시간 근무 어린이집 세 곳 운영, 오피스 내 수유시설인 모자유친룸 마련 임신 및 육아기단축 근무 시행, 태아검진 유급휴가 임직원 및 배우자를 위한 '임신'과 '출산' 선물 자녀 초중고 및 대학에 입학 시 연령별 선물 Craver. - (장기근속자) 1~2년차 대상 20~30만원 규모의 상여금 3년차 이상은 근속연수에 따라 상여금&유급휴가(최대 30일) (원격근무) 3년 근속 시 1주, 4년 2주일, 6년 3주일, 8년 4주일간 ※한국시간 기준 8AM~7PM 사이 2시간만 겹치면 시차가 큰 국가에서도 근무 가능 (성과달성 인센티브 지급) 전사 목표 영업이익 2개월 연속 달성시 최대 500만원(2개월 마다), 팀별 목표 달성 시 최대 220만원(분기별) SAMSUNG BIOLOGICS - 2024 삼바 패밀리 데이' 개최(9. 7. ~ 8.) 임직원 가족 약 3,200명 참여, 9. 21. 추가 진행 임직원들이 미리 준비한 깜짝 영상편지 시청 각종 레크리에이션, 홍보관 투어 바이알로 열쇠고리 만들기, 가운 입기 체험 등 DAEWOO E&C - 건설업 특성(남성비율)에도 육아휴직 장려 분위기 조성 ※ 휴직 전 충분한 인수인계, 일부 추가 인력 배치 등 업무 공백 1. 원 부서 복귀 원칙 2004년부터 매년 '꿈나무 초대 행사'(임직원 자녀 초청행사) 해외사업장 근무 최초 3년 후 가족 여행 경비 지원, 해외 파견 직원과 가족이 만날 기회 제공(1년 1회), 명절 및 가족기념일 선물 Chapter 07 2024 가족친화문화 확산 캠페인 가족친화인증기업을 찾아 여정을 떠나볼까요? 캠페인명: 2024년 가족친화문화 확산 캠페인 운영기간 : 2024. 10. 1. ~ 10. 31. 주요내용: 가족친화인증제도 & 우수 가족친화기업 소개 참여 혜택: 미션 3가지 완수 시 다양한 경품 제공 * 외식 문화 상품권 10만원 등 미션 1. 가족친화인증 알아보기 미션 2. 우리 지역 가족친화인증기업 탐험하기 미션 3. 근로자도 기업도 행복한 가족친화인증기업 인센티브 탐구 숨은 미션을 통해 경북, 제주 지역의 특산품을 맛볼 수 있는 기회로 지역 상생까지! 2024년 7차 가족친화 정책 및 국내 동향 감사합니다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친화지원센터 우리 기업의 가족친화제도 (문화)를 소개하고싶다면!